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서울도시건축전시관

터미널 7 아키텍츠

조경찬
사진
이현준
자료제공
터미널 7 아키텍츠
진행
박세미 기자
background

적층된 역사의 연결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은 대상지 주변에 숨겨져 있는 각기 다른 높이의 역사적 순간들을 드러내고 연결한다. 덕수궁 돌담을 수평적으로 연장하여 이 건물의 지붕은 성공회 성당의 시각적 기단이 되고 이를 성공회 성당 앞마당과 연결하여 옥상광장 플랫폼을 만든다. 세종대로 인도 높이에는 시설을 최소화하고 대부분을 기존 국세청 남대문 별관 지하층, 덕수궁 지하보도, 시청 시민청 높이에 상응하는 지하 3개 층에 배치한다. 세종대로 인도에 있던 기존 지하보도 출입구를 건물 내부로 가져와 지하 2층의 덕수궁 지하보도와 연결하여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게이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 층(지하 3층부터 지상 1층까지)을 통합하는 아트리움은 다양한 역사적 층위를 한 공간에서 경험할 수 있게 한다.

 

광장

성공회 성당을 드러내고 광장을 조성하기 위해 국세청 남대문 별관을 철거했다. 옥상광장 플랫폼은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의 앞마당과 이어지는 통합 광장으로 계획되었다. 이후 계획이 변경되면서 성공회 성당의 앞마당으로 향했던 경사지붕은 1m의 단차와 함께 단절되었지만, 시의회 마당, 세종대로 인도 그리고 주변 도로(덕수궁 돌담길, 서학당길)는 이와 연결되는 외부 광장과 동일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하나의 광장을 조성하고자 했다. 옥상광장의 패턴은 지적선에서 보이는 대상지 과거의 흔적을 복원하여 대한제국의 소공로를 향하게 하여 근현대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서울광장을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국세청 남대문 별관 철거 당시 남겨진 23개의 기둥 중 시공 과정이 기록된 1개의 기둥을 광장에 남겨 기억하고, 나머지는 바닥과 같은 높이로 비워두어 앞으로 축적될 시민 활동의 역사를 받아들이고자 했다.

 

지상과 지하의 연결

서울시의회 건물이 국회의사당으로 쓰였던 당시 조성된 덕수궁 지하보도와 건물을 직접 연결하고 인도를 차지하고 있던 출입구 2개소(덕수궁 방향, 시의회 방향)를 건물 내부 전면에 배치했다. 건물 내부 공간을 통해 시민청과 전철역, 그리고 앞으로 계획되고 있는 세종대로 일대 지하 공간이 연결된다. 건물이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게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지하로 연결되는 계단들에는 출입구를 두지 않고 일부 공간을 제외하고는 반 외부 공간으로 계획했다.

 

전시시설

전시 공간은 항상 2개 층의 복층 공간을 포함하여 높은 층고를 확보하면서 다른 층을 통합한다. 지하 3층의 대공간은 지상 1층까지를 통합하는 아트리움으로, 높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중 성공회 성당 방향 벽은 자연을 지하 공간으로 들여오는 ‘그린 월’로, 덕수궁 방향의 벽은 서울의 역사를 보여주는 아카이브 벽으로 계획되었으나 프로그램이 전시관으로 변경되면서 모두 전시를 위한 벽으로 수정되었다. 그에 따라 흡음 성능이 있고 프로젝션이 가능한 마감재를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덕수궁 방향의 벽은 건물의 주요 진입로를 따라 아트리움에 도달할 때 마주하는 주요 벽이자, 각층의 발코니 공간과 내부 공간이 바라보는 벽이다. 앞으로 도시의 축적된 층위를 보여주는 전시가 계획되어 각기 다른 시간 속에서 쌓인 기억을 통합하는 공간의 경험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터미널 7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주)(조경찬)

설계담당

최민욱, 지강일, 백설아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9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대지면적

1,558.3m2

건축면적

749.64m2

연면적

2,988.23m2

규모

지상 1층, 지하 3층

높이

2.11m

건폐율

48.11%

용적률

8.34%

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노출콘크리트, 유리

내부마감

유리, 노출콘크리트

구조설계

(주)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기계설계

청림설비기술사사무소

전기설계

(주)천일엠이씨

시공

양광건설, 신성건설, (주)인테크디자인

설계기간

2015. 11. ~ 2017. 8.

시공기간

2016. 10. ~ 2018. 12.

건축주

서울특별시

조명설계

(주)이온 SLD

토목설계

(주)비에스이엔지, (주)가인이엔지

특수구조설계

요시노리 니토 엔지니어링

국제설계공모

조경찬, 지강일, 전진현, 조용준, 송민경

기본・실시설계

건축사사무소 안(안종환, 강경화, 방승용, 진태욱)


조경찬
조경찬은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을,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며 건축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컬럼비아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건축 석사를 받았다. 라파엘 비뇰리 건축사무소에서 건축 수련을 받고 2015년 뉴욕에서 터미널 7 아키텍츠를 세웠다.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설계를 시작으로 서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현재 터미널7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학과에서 설계 스튜디오를 강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