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대지의 하단은 좌우로는 건물들로, 뒤쪽으로는 석축으로 둘러싸여 있다. 땅의 기존 대지 레벨에서는 좋은 자연환기나 자연채광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지붕 하부의 3층 공간이 디자인의 주요한 방향으로 잡혔다. 3층 공간은 넓은 외부 데크와 작은 실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데크의 모든 부분의 측면 벽체를 틔워 북한산 조망을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도록 계획했다. 지붕은 투명한 렉산으로 덮어 비는 막고 빛은 통과하게 했고, 숲 속 분위기를 지붕 내부 공간까지 연장하기 위해 익스팬디트메탈 레이어가 한 겹 덧대어져 빛이 내부로 깨져 들어오도록 했다. 배면 쪽 숲의 시원한 공기가 건물을 통과해 도시 방향으로 나가는 바람을 자연스럽게 내부로 끌어들여 기존 대지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주택 프로그램 배치에 있어서는 부부와 자녀 두 명으로 이루어진 구성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이 집에서 삶을 계속 이어나갈 부부를 위한 침실은 단독 욕실을 갖추었고, 작은 침실 두 개는 같은 형태의 평면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추후 방의 확장을 위해 작은 침실 사이의 벽은 비내력벽으로 계획했다. 세 개의 침실은 하나의 데크를 공유하며, 2층에 나란히 배치해 북한산 자락의 모습을 모든 침실에서 조망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다양한 사업을 하는 건축주를 위해 작은 사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공간을 3층에 배치했다.
주요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이며 외단열로 계획해 실내에서 콘크리트노출이 가능하게 했다. 구조를 활용해 내부 인테리어까지 해결하고 내부 마감재를 최소한으로 활용했다. 외단열 방식과 외부에 설치된 스크린으로열효율을 높여 지속가능한 주택을 계획했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병수건축연구소(조병수)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226-37
단독주택
274㎡
101.2㎡
275.7㎡
지상 3층, 지하 1층
2대
10.3m
36.93%
100.99%
철근콘크리트조
노출콘크리트, 익스팬디드메탈
석고 위 수성페인트
(주)조은기술단
씨앤오건설(주)
2016. 3. ~ 2017. 7.
2017. 12 ~ 201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