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등학교 도서관은 어떤 공간이어야 하는가?’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의 동관 1층에 자리한 도서관을 리모델링하게 되면서 떠올랐던 가장 첫 질문이다. 학교시설표준설계에 따라 구성된 전형적인 학교 건물에 위치했던 기존 도서관은 지상 1층에 위치함에도 벽 뒤에 숨은 채 학교의 다른 시설들과 단절되어 있었다. 내부 공간 또한 열 맞추어 정렬된 배치 속에서 학생들은 어디서 책을 읽을지, 어디에 앉아야 해야 할지 등 정해진 행위를 해야 하는 공간이었다. 학교는 교내에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 자유롭게 머물고 교류하기 위한 중심 공간이 없는 점을 아쉬워 했었고, 리모델링된 도서관이 그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장소로 탈바꿈하기를 바랐다.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도서관의 리모델링 전 모습 ⓒNam Jungmin
다양한 활동을 품는 생태계
새롭게 요구된 공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학생들, 선생님들과 대화를 나누고 관찰하면서 학교의 도서관이 단지 책을 보는 공간이 아닌 교내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와 활동을 품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함을 발견하였다. 학교의 규모는 크지만, 학생들이 머물고 쉴 수 있는 마땅한 공간이 교정에 없었기에 도서관은 책을 품는 공간 이상이어야 했다. 입시에 지친 학생들이 쉬는 시간에 잠시라도 마음 편하게 명상을 하며 머무는 공간이자 방과 후에 자신만의 장소가 필요한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서 쉬었다 가는 사랑방 역할을 하는 공공 공간이 필요했다. 그 필요를 반영하여 새로 리모델링될 도서관은 도심 속 공원처럼 학생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자유롭게 머물고 한숨 돌리며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생태계로서 학교 생활의 중심이 되도록 의도하였다.
숲 도서관, 발견하고 찾아 쓰는 공간
기존의 갑갑한 외벽을 허물고 외부의 조경과 운동장을 향해 열린 태도를 취한 도서관에 ‘숲도서관’이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크고 작은 다양한 생태계와 활동을 품고서 열린 구성을 가지는 숲처럼 숲도서관은 책뿐만 아니라 수업과 방과 후 활동 등 학생들의 다양한 일상 활동을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기존 도서관에서는 책장과 좌석의 정해진 배치를 통해서 어떤 영역을 어떻게 사용해야할 지 지시하고 있었다면, 숲도서관은 경직된 질서를 깨며 다양하게 흩뿌려진 공간 사이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자리를 찾아가고 발견하며 사용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마치 숲에서 우리가 공간의 쓰임을 발견하듯 책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진 이 공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자리를 발견해서 사용하게 된다. 일상에서 늘 접하고 자주 사용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그 안에서 변화와 새로움이 함께하는 공간으로 작동하도록 계획했다.
허물어진 벽과 자연을 통한 경계 흐리기
리모델링을 하면서 처음 시도한 것은 불필요한 내-외부의 벽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기존 도서관은 넓은 운동장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학교 입구에서 바로 연결될 수 있는 좋은 위치에도 불구하고 북쪽 끝에 하나 밖에 없는 입구와 폐쇄적인 개구부로 인하여 주변과 단절되어 있었다. 내부 또한 벽으로 나눠지며 지정된 용도에 맞추어 구획되다 보니 활용도가 낮은 불필요한 공간들로 분절되며 비합리적인 공간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기둥 사이 벽들이 비내력 조적벽임을 확인하고 운동장과 조경을 면한 쪽의 외벽을 철거하였다. 철거된 외벽이 있던 자리의 경계부에는 햇빛이 드는 전면창과 함께 야외테라스 및 실내 조경을 조성하여 도서관 외피의 경계를 자연을 통해서 형성하였다. 내부는 다양한 기능적 활용을 위해 넓게 개방된 공간 속에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바꿔가며 운영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으로 구성했다. 그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간들이 식물과 어우러지며 책장이 지형을 형성하며 새로운 내부 풍경을 만들어 낸다.
학교의 소중한 일상 공간
성암국제무역고의 도서관은 리모델링을 통해서 자연과 함께하는 새로운 열린 표정을 갖게 되었다.도서관은 더 이상 벽 뒤에 숨겨진 공간이 아니라, 교내 어디서든 인지되고 여러 개의 입구를 가짐으로써 개방성과 접근성을 가지게 되었다. 외관에서뿐 아니라 공간 활용에 있어서도 숲도서관은 학생들이 쉬는 시간과 방과 후에 자유롭게 모여 자연 속에서 책을 읽고 담소를 나누고 명상을 하는 학교 생활의 중요한 공간으로 기능한다. 리모델링이 끝난 도서관을 사용하면서 “우리 학교를 대표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 같아요!”라고 말하던 한 학생의 소회, 만족하면서 사용하는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표정이 아직도 좋은 기억으로 머리 속을 맴돈다. 좋은 장소를 찾아서 멀리 가지 않더라도 일상의 학교 생활 속에서 학생들이 좋은 장소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지며 본인들의 삶의 소중한 페이지를 채워 나가길 기대한다.
성남국제무역도서관 엑소메트릭 (좌)리모델링 전, (우)리모델링 후
성남국제무역고 도서관 평면도 (좌)리모델링 전, (우)리모델링 후
입면도 (좌)리모델링 전, (우)리모델링 후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남정민
이경호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29길 52
도서관
해당 없음
324㎡
324㎡
지상 1층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해당 없음
철근콘크리트
익스펜디드 메탈, 알루미늄 패널
합판 15T (바니쉬마감)
천일엠이씨
다임에스티
2020. 08. ~ 2020. 11.
2020. 11. ~ 2021. 2.
3억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남정민, 이경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