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공간)」 2023년 9월호 (통권 670호)
남양주시에 위치한 동화고등학교는 1950년에 개교하여 주변 도시조직과 함께 성장해왔다. 학교 캠퍼스는 초기에 마스터플랜 없이 10~20년의 격차를 두고 지어진 건물들이 공존하고 있다. 새로 들어선 어울림동은 노후된 식당을 철거하고 다양한 쓰임새를 위해 증축된 복합 공간이다. ‘컴플렉스(complex)’라는 명칭처럼, 이곳은 장소의 복합성을 드러내는 한편 통합된 집합체로서 확장된 교류를 암시한다. 건물에는 문화, 체육, 식음, 관리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기존에 있던 박스 형태의 단층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지의 단차를 이용해 1층 관리 공간으로 사용되며, 2층은 학생들의 식음 공간, 3층은 야외 농구장과 400석 규모의 공연장을 갖춘 문화 및 체육 공간으로 계획됐다. 다목적 공연장은 다양한 문화 활동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단차 없는 무대가 공원을 향해 열린 개방형 문화 및 교육 공간이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구조이자 외피인 그리드 프레임을 통해 하나의 집합체로 통합된다. 구조체인 그리드 프레임은 큰 건물을 작은 스케일로 분절하고 외부 동선과 사이니지를 통합하여 입면에 깊이를 형성한다.
캠퍼스의 중심부에 위치한 복합 공간은 교류와 마주침의 교차로를 형성한다. 설계의 시작은 이곳으로 접근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흐름을 건축화하는 일이다. 세 개 층을 연결하는 서측의 외부 계단은 내외부를 관통하며 서로 다른 사용자의 동선을 연결한다. 건물 하부를 가로지르는 경사로와 계단은 학교 내 크게 비워진 운동장과 정문의 마당을 잇는다. 마지막으로 동측 운동장에서 시작되는 100m 길이의 완만한 경사로는 식당과 공연장, 농구장으로 이어지는 동선을 이룬다. 다양한 동선체계는 프로그램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다수가 모이고 흩어지는 사용자의 밀도를 분산시켜준다. 또한 건물을 오르내리는 사용자들이 형성하는 역동적인 경관은 직교체계의 건축에 유동적인 흐름을 형성하며 복합시설로서 그 정체성을 보여준다.(글 나은중, 유소래 / 진행 방유경 기자)
월간 「SPACE(공간)」 670호(2023년 9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임리스 건축(나은중, 유소래)
이정호, 이창수, 강택규, 박지훈, 최요한, 김알리나, 신동휘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434
교육연구시설(학교)
35,008㎡
7,262.17㎡
20,487.07㎡
지상 3층
110대
16.6m
20.74%
54.64%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골강판, 스틸파이프, 노출콘크리트, FRP 그레이팅
화이트애쉬합판, 수성페인트
(주)은구조기술사사무소
하나기연
서강종합건설(주)
2020. 8. ~ 2021. 2.
2021. 3. ~ 2022. 3.
동화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