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공간)」 2023년 5월호(통권 666호)
[카페 현상] 건축사 속 카페
미상, 카페 드 플로레, 1887, 프랑스 파리
다양한 문화예술인들의 교류의 장으로, 파리 문화의 중심이 되었던 대표적인 카페다. 아르누보 양식으로 모던 카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고 1930년대 아르데코 양식으로 리노베이션되었다.
Screenshot from Café de Flore’s website
아돌프 로스, 카페 무제움, 1899, 오스트리아 비엔나
토털 디자인을 추구하던 당대 비엔나 체제시온 건축가들을 강하게 비판했던 아돌프 로스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잘 드러난 공간이다. ‘카페 니힐리즘’이라 불릴 정도로 장식을 배제한 백색의 공간 안에 장인의 가구를 배치했다.
source: Wikimedia Commons
찰스 레니 매킨토시, 윌로우 티룸, 1904, 영국 글래스고
토털 아트를 추구했던 건축가 매킨토시 특유의 기하학적 패턴과 디자인이 메뉴판 커버부터 사이니지, 가구, 갤러리 등에 전체적으로 적용됐다. 등받이가 높은 의자 디자인이 눈에 띈다.
source: Wikimedia Commons
요제프 호프만, 카바레 플레데르마우스, 1907, 오스트리아 비엔나
당대 비엔나 체제시온을 대표했던 호프만의 토털 디자인 철학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카페와 같은 역할을 한 장소로, 가구부터 포스터 같은 소품까지 체제시온 디자이너들이 함께 디자인했다.
source: Wikimedia Commons
아돌프 로스, 아메리칸 바, 1908, 오스트리아 비엔나
미국 성조기를 변형한 입면, 마호가니로 어둡게 마감한 좁은 내부가 유리를 통해 무한히 확장되는 공간감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기능을 따르는 형태, 장식 배제, 안락한 실내 등 로스의 건축 철학이 녹아 있다.
source: Wikimedia Commons
야코뷔스 아우트, 카페 데 유니, 1925, 네덜란드 로테르담
네덜란드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인 데 스테일의 멤버였던 아우트는 로테르담 사회주택 건설을 담당하는 시립 주택회사의 요청으로 두 벽돌 건물 사이 공터를 채울 카페 설계를 의뢰받았다. 몬드리안의 회화를 연상시키듯 흰색 바탕에 빨강, 노랑, 파랑의 원색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입면 구성은 순수한 조형을 중시했던 데 스테일의 건축 언어를 드러낸다.
source: Wikimedia Commons
미스 반 데어 로에+릴리 라이히, 카페 벨벳 앤드 실크, 1927, <여성 패션> 전시장 내, 독일 베를린
미스는 독일 실크제조협회의 의뢰를 받아 릴리 라이히와 함께 <여성 패션> 전시장 한쪽에 카페 벨벳 앤드 실크를 디자인했다. 다양한 높이의 직선과 곡선 파이프에 매달린 커튼이 유기적인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방된 곡선과 직선의 교차는 비슷한 시기 계획한 빌라 투겐트하트(1928~1930)의 평면을 상기시킨다. 내부에는 미스의 캔틸레버 의자(MR chair)를 배치했다.
ⓒMoMA, New York & Mies van der Rohe Archive
요제 플레츠니크+빈코 글라츠, 카페 벨베데레, 1930년경~1945, 슬로베니아 블레드
슬로베니아의 가우디로 불리는 요제 플레츠니크는 국왕의 요청으로 풍광이 아름다운 브레드 호숫가에 별장을 설계했다. 30m 높이의 기둥 세 개가 완공된 상태에서 국왕이 암살당하며 프로젝트는 중단됐고, 이후 그의 제자 빈코 글라츠가 기둥 위에 티하우스를 지어 완성했다. 고전주의와 모더니즘의 정취가 공존하는 자연 속 폴리와 같은 공간이다.
source: Architectuul (CC BY-SA)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브라질리아 삼권광장 티하우스, 1960년대, 브라질 브라질리아
니에메예르가 브라질리아 삼권광장 중앙에 설계한 방문자센터를 겸한 티하우스다. 국회의사당, 대통령궁, 최고재판소 세 건물이 삼각형 구도로 배치된 상징적 공간 한가운데 위치하여 공공성을 띤 프로젝트다. 반 층 가라앉은 긴 수평 매스와 투명하게 열린 내부 공간은 니에메예르 건축의 모더니스트적 조형성을 잘 보여준다.
ⓒChang Yongsoon
로버트 벤투리+스캇 브라운, 그랜즈 레스토랑, 1962, 미국 필라델피아
인접한 두 채 연립주택을 저렴한 학생 식당 및 카페로 개조한 프로젝트다.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1966) 출간과, 어머니의 집(Vanna Venturi House, 1959~1964)을 선보이기 전 초기작이다. 시선을 사로잡는 컵 모양의 입체 간판은 그들이 주장하던 이해하기 쉬운 건축을 드러내는 요소다.
Image courtesy of Venturi, Scott Brown and Associates, Inc.
알바루 시자, 보아 노바 티하우스, 1963, 포르투갈 마토지뉴스
대표작 레카 스위밍풀(1966) 인근에 위치한 티하우스로, 자연과의 조화와 존중을 중요시하는 시자의 건축적 태도가 잘 드러나는 초기작이다. 자연 암석으로 이루어진 해안선을 그대로 살리며 낮게 가라앉은 건물은 안과 밖의 경계를 흐리며 풍경과 동화된다.
ⓒNam Sungtaeg
안도 다다오, 요오도 티하우스, 1985~1988, 일본 오사카
오사카의 스미요시 주택(1975)으로 주목받은 이후 진행했던 소규모 프로젝트로, 안도는 오래된 목조건물을 개조하면서 각각 베니아 나무판, 블록, 텐트로 만든 다실 세 개를 설계했다. 일본의 전통적 다실 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벼운 재료와 구조를 통해 건축적으로 탐구한 작업으로 주목을 받았다.
Image courtesy of Tadao Ando Architect & Associates
이소자키 아라타, 우지안 티하우스, 1992, 일본 시나가와
이소자키가 현대의 새로운 재료로 전통 다도 건축의 예법을 계승하는 다실을 설계한 도전적 작업이다. 이소자키는 이 과정을 ‘조합의 미학’이라 명명하며, 전통 예법을 따르되 티타늄 벽, 철제 가리개와 처마, 삼나무 패널 지붕 등을 추가하면서 다도 분위기에 어울리는 명상적 공간을 설계했다.
Image courtesy of GOTENYAMA TRUST CITY
프랭크 게리, 콘데 나스트 카페테리아, 1996~1997, 미국 뉴욕
뉴욕에서 완공된 게리의 첫 작업으로 철판이 아닌 유리를 휘는 데 도전한 프로젝트다. 티타늄 천장 아래 크기와 곡률이 제각각 다른 70개 이상의 유리벽을 부스 형태로 설치했다. 자유 곡면을 형성하는 거대한 유리 벽이 굽이치는 실내 공간은 개방성과 역동성을 동시에 드러내며 게리 특유의 유동하는 공간감을 잘 드러낸다.(사진은 2018년 리모델링된 모습)
Image courtesy of the Durst Organization
세지마 가츠요+니시자와 류에, 고가 파크 카페, 1998, 일본 이바라키
세지마는 공원을 자유롭고 임의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무한히 펼쳐진 공간이라고 자주 언급했다. 활동 초기인 1997년 고향인 이바라키 코나 공원 내에 준공한 이 카페는 내부의 얇은 기둥들이 숲의 나무처럼 자유로이 놓이고 그 사이의 (반)투명한 공간에 의자, 테이블을 무작위적으로 배치했다. 사나(SANAA)의 단일화된 수평적 비위계 공간 유형의 프로토타입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source: Wikimedia Commons
월간 「SPACE(공간)」 666호(2023년 5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