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건축 플랫폼] 별의별 도시기록가 & 기록의 발견, 기록의 발현

박경선
자료제공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
진행
김예람 기자

별의별 도시기록가

총괄 | 박경선 

구성원 | 정은희, 정다은, 한혜영, 박성진, 윤솔희, 안혜미

운영기간 | 2020. 5. ~ 9.

주요 프로그램 | 영상, 기록물 수집

운영목적 | 자신만의 시선으로 영상, 글, 도면 등 다양한 매체로 서울을 기록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상을 통해 현재의 서울을 기억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 www.youtube.com/channel/UClhAtQDuTUW_NPZ8jiDUzEg

 

 

 

 

박경선 서울시 도시건축센터장 × 김예람 기자 

 

 

김예람(김): 도시공간개선단이 진행 중인 ‘별의별 도시기록가’의 기획 의도에 대해 설명해 달라.

박경선(박): 도시건축센터의 주요 업무 중 하나가 도시건축 관련 자료를 아카이브하는 것이기에, 어떤 자료를 어떻게 아카이브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많다. 도시를 기록하는 전문가들과 여러 시도를 하던 중에, 몇몇 시민들이 개인적인 관심에 따라 도시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SNS를 통해 공유되는 그들의 기록이 도시나 건축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의 기록 못지않게 중요하고, 박제된 기록이 아닌 개인의 기억을 담아낸 생동감 있는 자료라고 생각했다. 그 자료를 다른 시민들과 함께 나누고 공유하며 도시 기록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싶었다.

 

김: 기록가와 이야기를 주고받고 그를 뒤따라가면서 개인이 도시를 기록하는 방식과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영상 구성을 적용한 이유가 궁금하다.

박: 영화, 책, 잡지, 미술, 도면, 드로잉 등의 매체로 서울을 기록하는 인물들을 나열하고 그중 영상 콘텐츠로 담아내기에 적합한 기록가를 선정했다. 의미 있는 기록 활동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많지만, 별의별 도시기록가를 영상으로 제작해야 했으므로 인터뷰 구성 안에서 개인의 기록을 잘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들에게 참여를 요청했다. 그들의 기록물은 단순히 결과가 중요한 게 아니라 기록을 하게 된 계기와 과정, 도시에 대한 본인만의 기억을 함께 담아야 기록물로서 완결성을 가질 수 있기에 인터뷰를 진행하며 함께 기억의 현장을 다니는 촬영 방식으로 진행했다.

 

김: 도시를 기록하는 개인의 영상 콘텐츠는 공공기관의 건축·도시 아카이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박: 도시건축센터는 아카이브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그 성과를 시민들과 공유하고 정책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별의별 도시기록가는 주요 업무 간 중요한 접점의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별의별 도시기록가를 통해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자료가 영상으로 아카이브 되고, 그 영상의 주제가 향후 정책 연구과제의 중요한 출발이 될 수 있다. 요즘 관련 전문가, 학회, 기관 등이 별의별 도시기록가에 대한 문의를 하는 것을 보고 더욱 그런 것들을 체감한다. 

 

김: 별의별 도시기록가는 앞으로 어떠한 사람들을 통해, 무슨 이야기를 전달할 예정인가? 

박: 이번 시즌의 별의별 도시기록가는 총 8편으로 최종 마무리됐다. 다음 시즌에는 미래적인 시점에서 첨단 기술을 활용해 도시를 기록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들의 이야기를 다루어보자는 논의가 오간 적이 있다. 그중에는 시민 도시기록단을 모집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시민들과 함께 직접 서울을 기록해보자는 이야기도 있었다.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내용은 없으며 내년쯤 새로운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별의별 도시기록가 스틸컷 


기록의 발견, 기록의 발현
대표 | 조영삼
운영기간 | 2019. 3. ~ 2020. 12.
주요 프로그램 | 아카이브, 전시
웹사이트 | archives.seoul.go.kr


서울기록원은 시정에 관한 모든 정보를 보관하는 공공기관이다. 2019년에 개원한 이 기관은 행정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차원을 넘어 그 문서를 시민들이 공유하고 있는 집단기억과 연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서울기록원은 도시와 건축에 관한 자료를 다루는 도시건축센터보다 좀 더 포괄적인 범위의 기록물을 다룬다. 그곳에서 〈기록의 발견, 목동 신시가지 개발기록〉과 〈기록의 발현, 주공아파트 주민기록〉이 열리고 있는데, 이 전시는 서울에 관한 기록을 다룬다는 점에서 별의별 도시기록가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 〈기록의 발견, 목동 신시가지 개발기록〉은 2016년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서울주택도시공사 소유의 열병합발전소에서 서울시 행정문서가 대거 발견되면서 기획된 전시다. 건물 속에서 30년간 묻혀있던 기록물을 소개하는 전시가 열리면서 서울시 도시계획 총괄도, 목동 신시가지 정비계획서, 당시에 진행된 설계공모전 당선작 등의 자료 열람이 가능해졌다. 공개된 행정문서와 최종 계획도는 도시계획안을 추진하게 된 배경과 그것을 현실화하기 위한 논의 과정을 담고 있어, 사실에 근거한 객관적 시선의 기록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공공이 기록한 행정자료이기 때문에 그저 일반적인 기록물로 보여질 수도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것이 담고 있는 정보가 전시 형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얻게 된 경우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전시와 함께 열린 〈기록의 발현, 주공아파트 주민기록〉은 아파트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이 재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주공아파트를 기억하기 위한 활동을 공유한다.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모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일상, 물건을 수집해오고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기록물은 개인의 기억과 감정을 내포하기 때문에 행정기록물과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둔촌·고덕·개포·과천 주공아파트 주민의 기록 활동이 전시를 통해 한데 엮어지면서 공공이 미처 담지 못한 일상 기록의 중요성이 환기되었다.

‘기록의 발견, 기록의 발현’은 단순하게 행정문서를 보관하는 곳이 아니다. 이 플랫폼은 그동안 공공기관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했던 개인 기록물을 모으고 그것을 전시 형태로 가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억과 삶을 담고 있는 기록물이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이 플랫폼이 기록물을 모으고 공유하는 방법을 시민들과 함께 고민하고, 수집된 기록을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의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그들이 의도하는 정보 플랫폼으로서의 확장성을 지닐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기록의 발견, 목동 신시가지 개발기록〉 전시 전경 / 사진제공_고아름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경선
박경선은 2020년 1월부터 도시건축센터장 보직을 맡아 현재 서울도시건축센터와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건축 전공으로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건축과 도시디자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후 2015년부터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에서 근무 중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