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잉 매터는 이름 그대로 건축적 드로잉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조직이다. 16세기부터 현재까지를 아우르는 건축 아카이브 ‘드로잉 매터 컬렉션’을 토대로 전시, 출판, 교육 등을 기획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특히 드로잉에 대한 비평을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해내고 있다.
2022.06.23
1967년 4월, 「SPACE」 6호는 박길룡을 특집으로 다룬다. ‘건축가 박길룡: 24주기를 맞이하여’라는 제목 아래였다....
2022.06.22
성북구 동선동의 권진규 아틀리에는 그가 일본 유학생활을 마치고 귀국해 생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작업하고 생활한...
2022.06.20
‘오늘의 건축가’는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저마다의 건축을 모색하는 젊은 건축가를 만나기 위해 기획됐다. 그들...
2022.06.14
2010년 설립된 목천문화재단은 원로 건축가들의 자료를 아카이브하고 구술집을 펴내는 ‘한국현대건축의 기록’ 프로...
2022.05.31
매년 한 권 정도의 책을 쓰고 있다는 고전평론가 고미숙은 사람들이 쓰기를 가장 어려워한다고 말한다. 요리, 가구...
2022.05.27
1967년 7월 「SPACE(공간)」 9호는 일본 현대건축 특집호로 꾸며졌다. 한국은 식민지 시기 동안 일본을 통해 서구 ...
2022.05.19
2022년 1월 출간된 박고은의 『사라진 근대건축』은 네거티브 헤리티지라는 이유로 사라진 서울의 근대건축을 전면...
2022.05.18
2022.05.13
지난 4월 8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는 ‘남산 힐튼호텔과 양동정비지구의 미래’를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렸다. 「S...
2022.05.11
아워레이보는 지난 10년간 전시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미술계에서 업역을 확장하고 있다. 재개관한 리움미...
2022.05.06
카페가 공공성을 가지기 위한 해법은 무엇일까. 타나탑 링 가든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카페로 이 지역에...
2022.05.04
30여 년 역사가 있는 철제 사무용품 제조사 신기산업은 현재 부산 영도에서 상점 및 식음료 공간 다섯 군데를 운영...
2022.05.03
지난 1월 성수동 중림창고에서 진행된 <블루 아워: 염천교 수제화거리의 사운드스케이프전>(이하 <블루 아워>)은 ...
2022.05.02
5월호 프레임에서는 주택(사선의 집), 연회장(이스트밸리 컨트리클럽 다목적 홀), 오피스(아리지 빌딩), 카페(바하...
2022.04.28
여성 건축인 모임 소파(SOFA: Society of Feminist Architect)가 올해 초 ‘준공마블’이라는 게임을 공개했다. 게임...
2022.04.26
지난해 말, 성수동에 또 하나의 낡은 공장이 새로운 공간 플랫폼으로 재탄생했다. 이 전개는 더 이상 낯설지 않지...
2022.04.22
강씨댁, 이 범상치 않은 주택의 작가가 서울 시청 신청사를 설계한 유걸(1940년생)이라는 사실을 누구든 쉽게 납득...
2022.04.19
2022.04.15
이태원동 회나무길 끝자락에 책이 켜켜이 쌓인 듯한 외관을 가진 ‘그래픽’이 들어섰다. 외장재는 중국의 도예작가 ...
2022.04.05
길종상가가 이제 낙원상가나 세운상가만큼이나 익숙한 이름이라고 하면 비약일까? 길종상가가 실은 박길종이라는 ...
2022.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