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공간)」 2024년 2월호 (통권 675호)
양면성의 공간
대지는 동탄 제2신도시 개발과 함께 조성된 단독주택 필지로, 북서측으로 왕배산을 면하고 있는 부채꼴 형태의 이형 대지다. 밀도가 높은 주택단지임에도 불구하고 뒤로는 야산을 품고 있고 측면으로는 작은 근린공원에 인접해 있어 경직된 여타 개발지 풍경과는 사뭇 다른 쾌적하고 운치 있는 땅이다. 생활가로와 면한 화담재(和談在)의 입면은 무채색의 담담한 표정을 짓고 있지만 1층에서부터 2층 지붕선으로 연결되는 유려한 외벽의 곡면과 견고하게 쌓아 올린 깬 벽돌의 입면이 극적인 대비를 이루며 독특한 비례감을 형성한다. 대지 경계를 따라 부드럽게 흐르는 1, 2층의 남측 입면은 태양 입사각의 변화에 따라 깊이가 다른 그림자를 드리우며 다채롭게 변화한다. 건물 매스는 전면 도로에서도 집 너머로 뒷동산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일부 구간의 높이를 낮춰 주변과의 조화를 꾀했다. 주변 집들처럼 도로를 면한 남측에 마당을 두지 않고 북측에 후정을 두고 ㄴ자형으로 배치하자, 측면에 인접한 건축물과 도로쪽의 외부 시선이 차단되는 동시에 도로와 근린공원의 소음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북향집은 주택에서 사생활 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클라이언트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뒷마당과 포켓정원만으로도 충분히 실내를 밝게 유지할 수 있었고, 도로에 면한 정면의 묵직한 입면과 대조적으로 자연을 향해 활짝 열린 건물축의 반전 있는 뒤태가 이 집의 매력적인 요소가 됐기 때문이다. 뒷마당과 숲 사이 경계부에 설치한 피벗 힌지 도어는 필요할 때 언제든지 열어 자연과 마당이 하나로 이어지는 새로운 풍경을 선사한다. 가족들의 개인 방을 원했던 클라이언트 요청으로 ㄴ자 평면의 양 끝단에는 사적인 방을 두고 중간의 연결 지점에는 거실(1층), 서재와 옥외 테크(2층) 같은 공용 공간을 배치했다. 모든 실내 공간이 뒷마당을 바라보며 만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내부와 마당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머티브 건축사사무소(고영성, 이성범)
조혜신
경기도 화성시 산척동
단독주택
296m²
144.76m²
195.65m²
지상 2층
2대
9.9m
48.9%
66.06%
철근콘크리트조
알루미늄징크, 파벽돌, 스토 시그니처, 스토 벤텍시스템
수성페인트
드림구조(김민관)
(주)지엠이엠씨
건축주 직영
2020. 5. ~ 2021. 5.
2021. 11. ~ 2023. 1.
연일숲(안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