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산과 물 사이, 땅의 흐름: 지유원

프로젝트 : 아키텍쳐

존 홍
사진
프로젝트 : 아키텍쳐
자료제공
프로젝트 : 아키텍쳐
진행
유진 기자

 

 

한국의 다양한 경관이 독특한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제공하지만, 건축과 지형의 교차점에 대한 비판적 탐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예술과 음악 감상을 위해 조성한 문화 공간 지유원은 한강과 경안천 두 갈래가 만나는 분수령에 위치하며, 산과 물 사이의 급경사를 공간적, 생태적 흐름으로 변형시킨다.

 

 

자연보호구역과 인접해 허가면적이 200㎡에 불과하지만, 기존 지형과 밀접한 하프레벨을 활용해 방문객들의 경험을 넓히는 동시에 민감한 대지에 대한 간섭은 최소화한다. 외부의 길들이 한 층에서 건물 안으로 들어와 다른 층으로 빠져나가고, 움직일 때마다 근사한 수로와 산맥 너머로 경치가 확장된다.

 

 

 

 

대지에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물 형태가 형성되었던 방법에 대한 알레고리로서의 석재 클래딩은 지형선을 참조하여 얇게 깎아냈다. 다층 지붕 또한 문화적 경관의 한 부분이자 모임을 위한 넓은 계단공간을 활용하는 예술 관련 프로그램의 일부로 간주된다. 중앙의 선큰 마당은 건물의 복잡한 부분을 일련의 피라네시적인(Piranesian) 계단과 다리로 증류한다.

 

 

 

'지유원'은 '땅의 흐름'으로 번역될 수 있다. 주변의 수로가 한강의 (나아가 서울 전체의) 생태적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지유원의 지형적 접근법은 수로를 보호하지 못하는 인근 지역의 대다수 건물에 비판이다. 조경의 완충공간은 인접한 고속도로를 타고 흐르는 오염물이 하천에 도달하지 않도록 여과한다. 계단식 형태와 결합된 최소의 건축 면적은 빗물을 모아 자연 하천이 아닌 인접한 정원으로 천천히 흡수시킨다. (글 존 홍 / 진행 유진 기자)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프로젝트 : 아키텍쳐(존홍), 다인건축(장광엽)

설계담당

서은섭(팀장), 이호승, 심영신, 이정수, 이윤희

위치

경기도 광주시

용도

공연 및 전시공간, 게스트하우스

대지면적

928㎡

건축면적

234㎡

연면적

198㎡

규모

지상 2층

주차

2대

높이

8.3m

건폐율

25.00%

용적률

21.00%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라임스톤, 화강석

내부마감

페인트, 라임스톤, 원목마루

구조설계

㈜토담이앤씨

전기설계

㈜한신이앤씨

시공

다미건설㈜

설계기간

2020. 04. ~ 2021. 03.

시공기간

2021. 05. ~ 2022. 04.


존 홍
존홍은 건축가이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이자 프로젝트 : 아키텍쳐의 디렉터이다. 그의 작업은 건축과 도시학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도면, 소재, 이론 및 컴퓨테이션이라는 매체를 한데 모은다.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부교수를 역임했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를 비롯해 주요 대학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건축학 학사를,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를 취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