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01월
175호
이상만 / 김환기의 과슈와 시 / 연재 / 음악 / 93~96 / 유네스코 IMC 총회, 부다페스트, 헝거리 음악문화, 민속음악의 부활, 벨라 바르톡, 졸탄 코다이, 헝가리 음악계, 음악생활, 전위적인 현대음악, 부다페스트 음악주간, 바르콕 현악4중주단, 아카데미 음악당 /
1982년 01월
175호
오광수 / 김환기의 과슈와 시 / 미술시평 / 미술 / 84~87 / 이세득, 활동적 기질, 조형영역 확대, 창조의 경이, 매재의 확산, 실내디자인, 한국현대회화전, 국제교류, 타피스트리, 이세득 '조화 엘레지' 연작(1981), 이세득 드로잉 /
1982년 01월
175호
이일 / 김환기의 과슈와 시 / 특집-2 / 미술 / 36~37 / 1959년 이래 이탈리아 미술', 총 커미셔너, 제르마노 첼란트, 반심미적, 반체제적, 밀도 높은 동질성, 새로운 관심, 아르테 포베라(Poor Art) 제창 /
1981년 12월
174호
윤승중, 강건희, 김원, 김홍식, 이범재 / 한국건축가 '80 / 특집 / 좌담.2 / 건축 / 18~23 / 근대와 현대의 혼재, 포스트 모더니즘, Localism, 현살해결 급급, 근대건축 정립, 민중의 건축, 한국건축 터닝 포인트, 불란서 대사관, 로컬리즘과 전통, 설계조직 대형화, 한국건축의 방향, 외래문화 수용, 자기생활에 대한 공부 /
1981년 11월
173호
헨리 무어, 브랑쿠지, 에두아르도 파올로찌, 프란시스 베이컨, 윌렘 드 쿠닝, / 창간15주년 기념호 / 미술 / 185~196 / 헨리 무어, 삼차원, 브랑쿠지, 조각에서의 구멍, 에두아르도 파올로찌, 시적인 상상물로 변형, 프란시스 베이컨, 미술이란 느낌의 영역을 여는 수단, 한스 호프만, 창조적 충동, 바넬 뉴만, 그림 '완성'은 허구, 윌렘 드 쿠닝, 그림에 말을 시키는 일, 헤롤드 로젠버그, 캔버스 안으로 들오가는 것, 엘레인 드 쿠닝, 자연은 불가피한 요소, 클레멘트 그린버그, 미술은 원칙 아닌 경험의 산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