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12월
126호
편집실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시점 / 미술 / 8~9 / 무명도공의 비, 백자 본산지, 경기도 광주, 뮨예진흥원, 무명도공의 비 건립위원회, 위원장 최순우, 조각: 최의순, 비문: 최순우, 비명 글씨: 철농 이기우, 8각 화강석 좌대, 3개 화강석 돌기둥, 비문, 건립경위 /
1977년 11월
125호
시: 이흥우, 그림: 전성우 / 신안 앞바다에서 나온 문물 / 연재 / 인문 / 116~119 / 한국의 마음, 시, 그림, 삼국유사, 고조선 왕검, 곰녀의 환생, /
1977년 11월
125호
박영건 / 신안 앞바다에서 나온 문물 / 건축 / 106~107 / 사회적 보편성, 한국 건축계의 성장, 불길한 징후, 각기 혼자, 경제적 침입자, 건축문화 방치, 단절된 세대, 기성 건축가 창작, 장식 가득한 구조물, 조로현상, 자기 반성, 범건축계 사회운동, '알'의 의미, 창조적 사고 /
1977년 11월
125호
이일 / 신안 앞바다에서 나온 문물 / 미술 / 72~77 / 포스트 70년 , 붐의 종말, 색면추상, 국제전, 미술과 미디어, 절충적 인상, 6회 도큐멘타전, 주어진 공간, 환경작품, 반체제적 항의, 철구조, 지각적 방법론, 존재의 부조리, 변증법적 긴장, 존 데이비스의 군상조각, 프랭크 스텔라, 요한 게르츠, 러버트 모리스, 크리스토 'Running Fence'(1974), 리처드 세라, 백남준의 'TV정원' /
1977년 11월
125호
이호관 / 신안 앞바다에서 나온 문물 / 특집Ⅰ / 미술 / 24~27 / 해저유물 발견, 민속박물관장, 현지조사, 문화재 위원, 1차 발굴(1976.10.26), 2차 발굴(1976.11.9), 1-2차 발굴 인양 중요유물, 3차 발굴(1977.5-6월), 3차발굴 유물, 고대선박연구, 중국도자기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