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호
강홍빈 / 서울올림픽 경기장 시설 현황 / 특집 / 개관 / 건축 / 32~33 / 막바지단계, 대역사, 올림픽 타운건립의 입안과 진행과정, 장기적 도시발전방향, 잠실지역, 통합설계, 올림픽 관련시설 계획의 의의 /
226호
송미숙 / 80년대 전반의 한국미술 / 도심부 재개발의 현황과 과제 / 미술시평 / 미술 / 90~93 / 안영일, '산타 모니카 365' 연작, 정감의 세계, 명백한 수확, 모노크롬 색조, 면밀한 나이프 터치, 올 오버 구성, 옵티칼 그레이, 보편적 리얼리티, 색채의 정신성, 자연 대상의 인식, 디븐콘의 역할, 귀납적 방법론 /
225호
오인환 / 현대중국화의 대조류 / 연재 / 건축 / 94~97 / 진주, 도시와 건축, 지리적 환경, 도시의 기능, 시설 현황, 진주성 촉석루, 도시건축, 지주박물관, 도립문화예술회관, 도시계획, 진주남강종합개발계획, 중심지구 개발계획 /
김영나 / 현대중국화의 대조류 / 논문 / 미술/건축 / 76~87 / 큐비즘, 러시아 구성주의, 데 스 틸, 미술과 공예 움직임(운동), 바우하우스, 몬드리안, 테오 반 되스부르그, 게리트 리트펠트, 3원색과 3비색, 몬드리안의 '구성'(1927), 반 되스부르크의 '러시아 무용의 리듬'(1918)리트펠트의 슈레더 하우스, J.J.P. 오트 작 '카페 데 우니'(1925), 새로운 환경 창조 /
224호
정병관 / 건축가 김중업 / 미술시평 / 미술 / 66~69 / 이세득 작품전, 서정추상회화의 거목, 우주적 공간, 완벽한 화면, 현대와 전통, 색채-형태, 힘의 미학, 정신세계의 승리, 이세득 작 '심상 A85-7'. '적 80B'(1980), '화-74', '단상'(19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