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03월
105호
이상일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공간리뷰 / 연극 / 92 / 극단 풍토와 연극평론, 비판, 비평, 시비 없는 풍토, 무기력, 연국인 보금자리, 명동 예술극장, 당국이 시민회관 별관 마련, 항의성명 못낸 연극계, 비싼 대관료, 연예물 전용 스테이지, 극협의 체면, 근시안적 자세, 약자에 가혹, 강자에 아부, 예술가의 자존심, 너스레의 연극정치, 비예술가적인 정신적 폭력, 예술가의 순수성, 예술 통한 개혁자적 자세, /
1976년 03월
105호
오광수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공간리뷰 / 미술 / 89 / 우연적 질감, 통제된 심상풍경, 김영환 작품전, 데뷔시절 방법 지속, 주도성, 쉬르레알리스트, 공통된 관심의 누적, 청년 작가회전, 국립현대미술관, 다양성, 따블로에서 입체, 정관모 작 '무명작가의 묘' /
1976년 03월
105호
한만영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음악 / 51~52 / 알타이음악, 불교음악, 한중일 음악문화, 이질성, 서구의 영향 뚜렷, 중국음악 영향, 생명, 에악사상, 제례악으로 대체, 한(漢)문화, 음악문화, 알타dl(Altai)계, 아이덴티티 /
1976년 03월
105호
이일, 이구열, 오광수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미술 / 8~10 / 좌담, 국전 존재 의의, 정부 일각, 운영체제 개선 모색, 봄 가을 국전 확대, 구상과 비구상 분리, 애매 모호한 출품, 수상자 난발, 운영의 혼선, 시대착오, 작가들의 집착, 구상의 국전 독차지, 등요문 제도 횡포, 타분야 예술가, 국전 개입 재고, 민영화 운영 /
1976년 02월
104호
이영미, 이향미, 최병소, 황태갑, 황현욱 / 5개의 주거 - 생활의 틀, 재조직되는 공간 / 미술 / 103~106 / 좌담, 대구 '그룹35/128', 창립동기, 대구의 경도 위도, 대구지역 순수실험미술, EXPOSE전, 한국실험작가전, 자연의 창조정신적인 저변, 선의 세계, 이향미 작 '색자체', 황태갑 작 '열병식 벽', 최병소 작 '무제', 현대미술에 관한 주장, 지방과 중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