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01월
127호
이흥우 / 대규모 프로젝트와 공공건축 / 시점 / 연극 / 44~45 / 추송웅 1인극, 빠알간 피이터, 6개월째 공연, 어느 학술원을 위한 보고서, 원숭이 생태, 총체적 결집, 전력 원숭이, 언어표현들, 강력한 접착제 /
1978년 01월
127호
백건우, 강석희 / 대규모 프로젝트와 공공건축 / 음악 / 24~27 / 파이니스트 백건우, 귀국연주회, 연주는 창작, 작곡가의 뜻 발견, 생화학적 체험, 스크리아빈, 판타스틱 이미지, 죽음과 대화하는 쇼팽, 초견으로 얻는 테크닉, 미지의 항해, 혁명보다 발전 신봉 /
1977년 12월
126호
김문환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포룸/특집 / 연극 / 107~112 / 아프리카다움, 제의적 연극, 전문적인 연희자, 공동체와 문화, 소인카(Wole N. Soyinka), 세계 제2차대전 후 아프리카 극장, 그림틀 무대형식, 식민정책 일환, 상호 소통적 예술, 나이지리아 칼라바리마을 거북축제, 아프리카적 연극언어, 가나극립극장 계획안, /
1977년 12월
126호
르네 위그, 김화영 역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연재 / 미술 / 70~74 / Rene Huyghe, 색채, 감성의 제결합, 색채화가, 빛, 렘브란트 작 '노화가의 초상', 반사와 반성, 베르메르(Vermeer), 백색의 절대, 영혼의 표현, 가문색채론, 들라크롸(들라크루아), 색채의 상징체계, 회화의 음악, /
1977년 12월
126호
이경성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미술 / 26~33 / 제10회 파리 비엔날(비엔날레), 약화된 파괴력, 비디오 작품들, 새로운 미학 창조, 중성적 성격, 새로운 돌파구, 제14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반예술의 승리, 변질된 비엔날레, 미의 파괴, 기이한 현상, 종래 개념 타파, 브라질 전위미술, 세계미술의 가능성, 김창열 작 '물방울', 마누엘 라바(스페인), 로스트레체그룹 연작(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