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08월
134호
박용구 / 도시의 길, 사람의 길 / 공연 / 40~41 / 세종문화회관 개관 예술제, 영국 일간지 '더 타임즈', 한국 문화회관 건립 찬양, 라 스칼라극장, 로열 발레의 새 징검다리, 우리 공연예술의 취약점, 국향과 시향의 취약점, 주먹구구식, 백건우와 강동석, 병역기피, 국제경쟁력 /
1978년 07월
133호
차대덕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미술 / 114 / 민전, 기대와 염려, 전문가들의 의견, 일간신문사들의 의욕, 동아미술제, 새로운 형상성, 중앙미술대상전, 젊은작가에 문호개방, 상업주의적 오해, 비슷한 운영방법, 혁신적 용기 부족, 뚜렷한 주체의식 요구 /
1978년 07월
133호
백승길 편역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미술 / 103~110 / 불상, 부처 상징, 우주의 축, 깊은 신앙심 형상화, 불상 안에 부처 존재, 백단향불상, 깨달은 사람의 상, 초월자의 존재, 간다라의 사실적인 불상, 우주 5요소 대표하는 손가락, 부처의 발자국(마드라스박물관, 1세기), 법륜(방콕박물관, 7-8세기), 석가모니 생애 벽화(키질), 불상의 발달과정, 고행하는 석가모니(라호르박물관, 2-3세기) /
1978년 07월
133호
배영철, 김종학, 김차섭, 이병용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미술 / 37~43 / 뉴욕 거주 한국작가들, 현대미술 좌담, 바우하우스의 영향, 현대미술의 중심, 추상표현주의, 네오 다다, 팝 아트, 신앙과 같은 필연성, 서울과 뉴욕의 연결 선, 내부가 외부로 발산, 패션과 화장, 아이덴티티, 한국의 백색미술, 뉴욕 현대미술의 중심지 소호 /
1978년 07월
133호
선정, 해설 정양모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미술 / 11~19 / 화조도(18-19세기), 부처방석(19세기), 곽분양향락도(18-19세기), 호렵도(18-19세기), 십장생도(8폭중, 18-19세기), 백동자도(19세기후기), 십장생도(8연폭중, 18-19세기), 사계분경도(14-15세기), 활옷(19세기), 어락도(10폭중, 19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