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05월
143호
고주석 / 소프트 건축물 / 건축 / 32~39 / 전후 현대건축, 오프 아키텍처, 행동과학적 건축, 생태학적 건축, 인문주의, System Thinking, 한국도시환경, 사회계층 격차, 전통 표현, 문화적 배경, 유아독존적 실수, 태극사상, 오행사상, 황경적 설계, 생태건축, 파울로 솔레리-아르코산티 계획, 태양에너지 시스템, 케빈 로치-포드재단 본부 /
1979년 04월
142호
김인환, 구희서, 한상철 / 그랑팔레전 그 세평과 시비와 문제점 / 리뷰 / 예술 / 101~104 / 미술, 남관 작품전, 강대운 유화전, 백영수 작품전, 연극, 민중극장 신춘문예 희곡 공연, 실험극단 '카사블랑카여 다시 한번' 공연, 국립극단 '객사' 공연 /
1979년 04월
142호
강태성 / 그랑팔레전 그 세평과 시비와 문제점 / 수상 / 미술 / 80~81 / 지평선, 형상의 연속성, 자연스런 활동, 미지의 세계, 전통조각, 곡선의 율동, 정경의 연속, 공간감의 조건, 양감과 질감, 내적 에너지, 면의 변주, 강태성 작 '손의 환영' /
1979년 04월
142호
김인환 / 그랑팔레전 그 세평과 시비와 문제점 / 특집-1 / 미술 / 42~43 / 시비의 요점, 화단의 헤게모니, 예술가의 존재, 집단개성, 한국의 특성, 평가의 당위성, 개개 작가의 개성, 미술 수준, 세계 제일, 자가당착, 무욕의 덕 /
1979년 04월
142호
편집부 / 그랑팔레전 그 세평과 시비와 문제점 / 특집-1 / 미술 / 16~23 / 서용석(조선일보 기자): 서구흉내, 하종현(출품작가, 한국일보): 파리서 호평, 박서보(출품작가, 조선일보): 신선한 세계관, 김성우(한국일보 기자): 주목 못끈 한국화가, 오광수(동아일보, 평론가): 파리전시 화발, 오경환(화가, 중앙일보): 출품에 이상있다, 신용석(조선일보 기자): 국제전 왜 실패했나, 심문섭(참여작가, 중앙일보): 관점의 차이, 김경인(화가, 중앙일보): 집단개성이 전부 아니다, 박용숙(평론가, 신동아): 파리 미술전의 교훈, 이구열(평론가, 월간 춤): 우리 미술과 세계의 눈, 원동석(평론가, 뿌리깊은 나무): 말썽과 변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