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05월
179호
양호일 / 한국현대미술위상전 / 조경 / 94 / 자연, 인간사회, 필연적 함수 존재, 생태계 파악, 자연의 지배 가능, 경주 S목장 환경디자인, 생태학, Oikos와 Logos의 합치, 생태계 경제원리, 환경디자인에 적용, 여가공간 구축, 치유의 역할 우선 /
1982년 05월
179호
김기웅 / 한국현대미술위상전 / 건축 / 89 / 건축가의 표현방법, 자기계발, 건전한 상식, 훌륭한 건축가, Specialist, Generalist, 전주 목포 시청사, 시청사 개념 정립, 목포시청사, 도시 형성 연륜, 개발효과 기대, 전주시청사, 전통양식, 낮은 부분, 한식기와 담장, 부속거물기와지붕, 전면 반사유리, 가람배치 형태, 관리들의 반대 /
1982년 05월
179호
라스 / 한국현대미술위상전 / 연재 / 미술 / 67~74 / 1939년 뉴욕 세계 전시회, 정치-선전, 삼각첨탑과 회전의, 근대미술 대선언, 구겐하임미술관, 내일의 미술, 퇴폐미술전시회, 렘브루크의 '무릎꿇은 여인', 근대주의, 존 하트필트, '독일 미술의 전당'의 퇴폐미술 /
1982년 05월
179호
문범 편역 / 한국현대미술위상전 / 미술 / 47~57 / 제16회 상 파울로 비엔날레, 'Mail Art' 특별부분 신설, 500여 작가 초대, 동시성의 미술, 매개미술, 미술과 우편, 직설적인 미술, 리듬의 미술, 사회주의 미술, 김구림, 윌리암 브루스 헤일(미국), 막스 빔머(서독), 크리스티나 디아스(브라질), 다니엘 치울리니(이탈리아), 마에크 크란다(폴란드) /
1982년 05월
179호
편집부 / 한국현대미술위상전 / 특집-1 / 미술 / 35~46 / 이세득: 생명의 미를 시적 조형으로 표현, 정창섭: 시대적 미감에 맞는 전통의 계승작업, 정영렬: 기성 가치관에 도전하는 급진적 방법, 하종현: 자연스러움을 찾아서, 김구림: 완결성으로 진전되는 프로세스, 윤명로: 그림의 원천 찾아 방황을, 이봉렬: 묵시의 공간, 최욱경: 절제되고 압축된 감성, 서승원: 조형질서의 재확인, 최명영: 소재들에 접촉하는 행위의 다스림, 이태현: 작위와 무작위의 접점 모색, 하동철: 빛에 이르는 길, 최병소: 무모한 짓에 대하여, 안병석: 이미지와 평면성의 상보관계, 김진석: 강력한 새로운 에너지로..., 이두식: 직관적 태도로 무한한 자연의 형상 포착, 이동엽: 물과 정신의 투명화, 이관호: 유폐된 욕망과 관응의 움직임, 김태호: 개방된 공간에서 형태근원을 추구, 곽남신: 종이와 흑연의 드라마를, 진옥선: 공동운명체적 의식의 확인작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