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호
오광수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미술 / 80~81 / 황용엽, 정문규, '인간과 이브' 공동전, 공통된 조형상 관심, 인간적인 유대, 추상표현주의, 반색채주의, 반복되는 획선, 상징적인 형태, 인간의 형상, 황용엽 작 '인간 시리즈', 정문규 작 '이브 시리즈' /
르네 위그, 김화영 역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연재 / 미술 / 70~74 / Rene Huyghe, 색채, 감성의 제결합, 색채화가, 빛, 렘브란트 작 '노화가의 초상', 반사와 반성, 베르메르(Vermeer), 백색의 절대, 영혼의 표현, 가문색채론, 들라크롸(들라크루아), 색채의 상징체계, 회화의 음악, /
김화영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미술 / 54~58 / 연화문의 유래, 용례와 표현형식, 양식 변천, 삼국시대-삼국 다른 특색, 통일신라시대-불교적 장식무늬, 고려시대-형식 변화, 조선시대-생활장식, 한국 연화문의 특성, 전통적 장식, 한국적인 무늬 /
박래경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특집 / 미술 / 21~23 /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작품 규격 제한, 비사실성, 힘에 대한 의식, 시 /
김기호 / 제2회 공간미술대상 (조각상) / 특집 / 미술 / 12 / 김기호, 수상작: 시공 77-10, 매스의 콘트라스트, 시간성의 표현, 긴장감과의 하모니, 계산된 수치, 인공재, 서울대 미술대학 졸업(1964), 제3조형회 그룹전, 앙데팡당전 출품, 26회 국전 특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