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06월
168호
김복영 / 아르헨티나의 건축 / 시평 / 미술 / 111~114 / 형상' 세대, 사물의 인식 문제, 조성묵의 '메시지'전, 중화된 형상, 조성묵 작 'Message 빛의 앞에'(1980), 시각의 메시지 전, 현실형상, 조상현 작 '프로타주에 의한 레디;메이드 소고', 상81전, 20대 중후반, 심리적 접근, 박철호 작 '기억연습 81-3' /
1981년 06월
168호
박용구, 백병동, 이강숙 / 아르헨티나의 건축 / 음악 / 44~46 / 제6회 공간대상, 음악상 공모, 음악을 향한 대안, 한국창작음악, 진로 모색, 철학과 기술 공존, 자아인식, 새로운 문화, 음악지도, 꾸준한 신인 /
1981년 05월
167호
김복영, 윤우학, 한상우, 한상철, 구희서 / 뛰어드는 미술, 도시의 벽화 / 리뷰 / 예술 / 103~112 / 김상구 목판화전, 김용민 전, 심명보 전, 홍정희 전, 장순업 전, 사실과 현실 '81전, 서울 '80 'Report on Masters'전, 서울무지카 피아노 3중주, 서울시향 260회 정기연주, 극단 민예 '말뚝이전', 연우무대 '어둠의 자식들', 산실의 맥박(1)-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
1981년 05월
167호
김종일, 최종섭, 최재창, 우제길, 구연주, 박봉화, 문복철, 한동수, 배상하, 유승우 / 뛰어드는 미술, 도시의 벽화 / 미술 / 97~101 / 현대작가에포크회, 보수적 미의식, 정신적 근원, 평면작업, 역사의 흐름, 내적인 영혼, 백제정신, 현대적 승화, 문복철 작 '대류 8108', 우제길 작 '작품 1980-12G', 박봉화 작 '한국사 '79' /
1981년 05월
167호
하동철 / 뛰어드는 미술, 도시의 벽화 / 수상 / 미술 / 78~80 / 자아, 최초 표현충동, mark, 선, 지향적, 반복 형식, 세포분열적 확대, 우주의 질서, 개체, 밀도, 층, 무형의 정신성, 하동철 작 '빛(Black+Brown)ⅠⅡⅢ'(1980-81), '빛(다섯개의 어긋남)'(19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