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08월
110호
박형철 / 바그너- 예술과 정치, 극장과 음악 / FORUM / 미술 / 93~103 / 전통목칠기류, 자개상자, 자개빗접, 함지박, 등가, 한국근대목칠공예의 여명, 전통공예 계승, 서양공예 유입, 1910년 ~45년 목칠공예, 전통문화 암흑기, 선전 공예 특징, 1945~59년 , 공예활동, 국전 공예, 1960년 대 이후, 한국공예가회, 상공미전과 동아대전, 공예계 특성, 교육 현황, 한국현대목칠공예의 미래 /
1975년 07월
98호
정시화 / 전통무용의 계승문제 / 디자인 / 18~27 / 현대디자인의 근원, 크래프트맨십의 위기, 창의적 디자인, 기술적 능력, 초기공예의 경향, 현대감각적 공예가, 전승주의적 공예가, 김진갑의 나전칠기(1934), 이순석의 '성수기를 겸한 십자가(1969), 백태원의 '칠기'(1969)권순형의 도자기(1973), 백태호의 '염색:무늬'(1970), 김교만의 '작품 7'(1972), 권순형의 '도자기'(1973) /
1974년 03월
83호
박용구 / 화가 장욱진 / 연재 / 음악 / 40~42 / 거문고 창시, 고구려 제2상 왕산악, 삼국사기 악지, 신라 옛 기록, 진나라 칠현금 연주법 현상, 고구려 왕산악이 개량해 연주, 왕산악의 시대, 거문고 벽화, 안악고분과 통구 무용총, 왕산악은 3~4세기 예부 장관 추정, 고구려 집권체제, 제정일치, 거문고의 샘플인 칠현금, 수공후와 와공후, 진나라 7현금이 곧 와공후, 왕산악이 7현을 4현으로 개량, 와공후가 거문고로 대체, /
1973년 07월
76호
한국의 도자문양- 고려편 / 특집 / 디자인 / 8~60 / 총 113종 수록, 청자양각연화문투각향로, 청자투각칠보향로, 청자음각연당초문 '효문'명 매병, 청자음각국화문탁반, 청자상감운학국문매병, 청자상감목단당초문침, 청자상감진사포도동자문주자, 청자상감용문유병, 청자상감격자문, 회청자백니운문병, 철채청자백니초문주자, 도칠자기국화문호, 철유자기운문, 회청자절지조충문매병 /
1973년 06월
75호
오광수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미술 / 4~5 / 권진규의 자살, 행위의 의지, 폴록의 죽음, 자동차 사고, 행위의 지속, 명동화랑 개인전, 테라코타와 건칠 작품, 독보적 방법, 작업의 일관성, 한국적 리얼리즘, 천재형의 작가, 제작의 무상성, 아나크로니스트의 비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