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503호
이영철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Feature / Critique / 도시 / 124~127 / 국가 상징 거리, 백남준, 신동아, 국가 상징, 시민의 일산 공간, 침투, 상투화, 문화적 행위, 창조 공간 /
2009년 10월
503호
편집부 / What Dose 'Square' Mean to Us, the Citizens? / Hanil Visitor / News / 건축 / 8~19 / 빛을 고려한 파사드에 시각적 유희를 더하다, 국가 상징 거리: 변화의 시작점인가 종착점인가?, 서울디자인올림픽 2009개최, '투모로우시티' 올해 인천시 건축상 수상, 3D 모델로 재현된 로마 카타콤의 역사, 찰스 콰스메이 별세, 도심에 꽃피 무선통신 지원 장치, 창의적 혁명을 꿈구다: 리프트 아시아 09, 아이 웨이웨이가 그리는 '세계지도'전, 85호 크레인-어느 망루의 역사전, 현대사의 비극: 기무사에서 건져 올린'플랫폼 2009', '가상선'전, 20세기 프랑스 실용주의 디자인의 중심:장 프루베전, 유진규의 '빨간방' 공연의 틀을 깨다, 20세기 사진의 거장,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건축의 마사지(전진삼), 장소의 재탄생;홍대앞에서 런던까지(박상훈), Urban Flotsam, The Projects, NBBJ, OMA, 여수세계박람회 국가관, F451, CHN, 세계델픽대회: 제주도에 새로운 랜드마크를 제안하다 /
2009년 09월
502호
최진이 /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Feature 02 / 건축 / 106~107 / 서봉리사이클링, 창작 공간, 예술, 생산시설, 재생, 장소적 특징, 커뮤니케이션 창구 역할 /
2009년 09월
502호
류제홍 /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Feature 02 / Critique / 도시 / 94~97 / 문화, 창의 도시, 유휴공간, 창작 공간 조성, 르 성콰트르, 아트팩토리 /
2009년 09월
502호
최진이 / The Gwanghwamun Square: Limits and Significances / Feature 02 / 건축 / 92~93 / 예술, 도시, 도시의 기억, 시간의 켜, 지역 커뮤니티, 창작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