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07월
228호
김덕겸 / 서울올림픽 경기장 시설 현황 / 자작수상 / 미술 / 102~103 / 지향성, 전통과의 유기적 발전적 관계, 견고, 아름다운 빛깔, 목리, 형태감, 합의형태, 시간과 공간의 세계, 공동의 공간, 작품제작과정, 김덕겸 작 '각양'(귀목, 1986) /
1986년 07월
228호
김인환 / 서울올림픽 경기장 시설 현황 / 미술시평 / 미술 / 98~101 / 김비함 작품전, 비재현적 한지회화, '편안한 상태'의 작업, 토착적 감성의 세계, '인상적 전시, '재현적인 방법' 거부, 그림일기, 상상적 표상의 세계, 한국인의 숨결, 주술적 위압감 /
1986년 06월
227호
편집부 / 한국 현대 조각의 현황과 과제 / 공간가이드 / 예술 / 140~147 / 김종상 근작 동인전, 노재순전, 조영희 작품전, 강재화 우창훈전, 32인의 작가 지역 총체전, ATHO전, 퐁피두센터 한국축제 종합 문화행사, 공간미술관 소극장 공간사랑 안내, 6월의 전시와 공연 일정 /
1986년 06월
227호
이건용, 이시우 / 한국 현대 조각의 현황과 과제 / 지방화단 / 미술 / 138~139 / 대전, 한남대 미술과 동문전, '대전 78세대-전주궈터'연합전, 사월전, 한밭 조각회전, 충남조각연구회전, 청림전, 신예조각가 12인전, 안재옥전, 창형전, 형상-모듬전, 목원대학 교수전, 임봉재 작품전, 부산, 이진용 개인전, 지묵전, 카톨릭미술인협회전, 성백주초대전, 김정혜조각전, 갑자전, 부산조각회전 /
1986년 06월
227호
서성록, 임두빈, 김춘비, 한상철 / 한국 현대 조각의 현황과 과제 / 리뷰 / 예술 / 133~137 / 조성무 작품전, 안창홍 작품전, 학술대회-개화기음악사, 제작극회의 '탱자꽃 ' 공연, 연우무대의 '칠수와 만수' 공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