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호
자료제공: 이경성, 이구열 /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 미술 / 60~63 / 공예와 도안(1), 임경재, 동아일보(1928.8.18), 미술계의 제문제, 최근배, 조광(1939. 1월호), 민중에의 미교육, 미술가의 반성, 미술학교 창설, 상설미술관, 미술단체조직, 공동화실과 연구소, 정축(년 ) 조선미술계 대관, 김복진, 조광(1937년 12월호) /
박용구 /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 음악 / 54~55 / 고대신라, 지리적 여건, 북방족과 해양족, 전통과 혼혈의 우생학, 시조묘, 샤마니즘, 지배권력 강화, 도솔가, 도살푸리, 무가의 민요화 /
문명대, 박래경, 안휘준 /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 미술 / 46~53 / 신미술시대, 서구문화, 전위예술, 사관, 일본, 민족문화, 중국 영향, 작가 의식, 반고전주의, 미술교육, 미술사학, 교육행정, 비평, 작가의 기본 자세 /
안영배, 사진: 안영배, 원대연 /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 건축 / 31~44 / 규모 작은건축, 외부공간, 친밀감 거리, 적절한 크기, 80척, 건축물 상호간 연관성, 공주 갑사, 충무 용화사, 강화 전등사, 안강 옥산서원, 서강사묘 /
김원 /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 연재 / 건축 / 11~22 / Dronten 사회문화센타, F. van Klingeren, 시장, 극장, 체육관, 도버해협, Save Piccadilly movement, Shaftesbury, 전위, 고전과 공존, Thames강의 안개, 풍토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