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11월
231호
오광수 / 제10회 공간대상 / 연재 / 미술 / 122~126 / 표현주의, 발덴, 구본웅: 여인(1930), 표현주의와 야수파, 황술조, 임군홍, 김종태, 주경, 이중섭, 이대원, 이대원: 온정이풍경溫井里風景(1941), /
1986년 08월
229호
박길룡 / 한민족에게 주는 1988 서울 올림픽의 의미 / 환경리뷰 / 건축 / 132~139 / 가로, 풍요로운 환경, 타운 스케이프, 연속적 질서체계, 스케일, 공간적 실체, 영역 조절능력, 시간적과정, 동적차원, 부분과 전체, 통합된 조형 /
1986년 07월
228호
오광수 / 서울올림픽 경기장 시설 현황 / 미술시평 / 미술 / 90~93 / 심경자, '가르마' 시리즈, 인생의 연륜, 삶의 흔적, 탑본에 의한 전사, 꼴라쥬 이미지 창조, 풍부한 구성적 인자, 화선지와 수묵, 채색, 침착성, 작가의 심성 /
1986년 06월
227호
이경성 / 한국 현대 조각의 현황과 과제 / 특집 / 총론 / 미술 / 31~37 / 모방과 이식, 정착과 확대, 양식과 재료면에서의 기법확대, 1960년 이후 추상조각의 발달, 풍요속의 빈곤, 획일성 /
1986년 04월
225호
최병식 / 현대중국화의 대조류 / 특집 / 미술 / 35~53 / 현대 중국화, 서구화, 창조적 접목, 양주8괴, 전문 매스컴, 신미술 전파, 주쉬꾸의 공헌, 미술교육제도, 신중국화 운동, 제백석, 현실주의 화풍, 임백년 작 '도원도', 변혁과 장막의 여정, 채묵화운동, 임풍면 작 '풍경', 혁명학파, 교조주의 회화, 자연관, 문화대혁명의 비운, 80년대 4화운동, 중국국화원, 혁신주의 신예작가, 추상운동, 오관중 작 '춘설'(1982), 모더니즘 수용, 동서회화의 만남, 회헌 작 '10월 금풍', 중국회화 재조명 /